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cctv
- 기간제근로자
- 인신보호법
- 장애
- 인권조례
- 성희롱
- 세계인권도시포럼
- 세월호
- 사회복지시설
- 헌법재판소
- 연구보고서
- 정신장애인
- 성소수자
- 갱신기대권
- 실태조사
- 인권증진기본계획
- 대법원
- 이주민
- 정신요양시설
- 인권위
- 인권매뉴얼
- 교육자료
- 인권교육
- 416연대
- 인권도시
- 장애인
- 장애인학대
- 성폭력
- 416인권선언
- 선거권
Archives
- Today
- Total
사람답게 살아갈 권리
[대법원 2007두1729 판결] 근로계약 갱신기대권 관련 법리 본문
기간을 정하여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의 경우 그 기간이 만료됨으로써 근로자로서의 신분관계는 당연히 종료되고 근로계약을 갱신하지 못하면 갱신 거절의 의사표시가 없어도 당연 퇴직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근로계약, 취업규칙, 단체협약 등에서 기간만료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요건이 충족되면 당해 근로계약이 갱신된다는 취지의 규정을 두고 있거나, 그러한 규정이 없더라도 근로계약의 내용과 근로계약이 이루어지게 된 동기 및 경위, 계약 갱신의 기준 등 갱신에 관한 요건이나 절차의 설정 여부 및 그 실태, 근로자가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 등 당해 근로관계를 둘러싼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볼 때 근로계약 당사자 사이에 일정한 요건이 충족되면 근로계약이 갱신된다는 신뢰관계가 형성되어 있어 근로자에게 근로계약이 갱신될 수 있으리라는 정당한 기대권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를 위반하여 부당하게 근로계약의 갱신을 거절하는 것은 부당해고와 마찬가지로 아무런 효력이 없고, 이 경우 기간만료 후의 근로관계는 종전의 근로계약이 갱신된 것과 동일하다.
'결정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지법 2017구합2276] 강제 퇴거 명령 및 보호명령 취소 (0) | 2018.06.17 |
---|---|
서울행정법원 2018. 5. 31. 선고 2017구합83799 판결 - 기간제 근로자 부당해고 (0) | 2018.06.17 |
[대구지법, 2017고단6135] 아동학대 무죄 판결 (0) | 2018.06.17 |
[대구고법, 2018누2293] 영치품 사용 불허 처분 등 취소-성인잡지 교부 관련 (0) | 2018.06.17 |
[서울행정법원]'이타적 자살'도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업무상 재해'에 해당한다고 판결한 사례_2015구합82846 (0) | 2018.06.1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