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인권매뉴얼
- 실태조사
- 성희롱
- 선거권
- 인권도시
- 인권교육
- 이주민
- 연구보고서
- 기간제근로자
- 416인권선언
- 사회복지시설
- 갱신기대권
- 인권위
- 대법원
- 정신장애인
- 정신요양시설
- cctv
- 장애인학대
- 인권조례
- 세계인권도시포럼
- 인권증진기본계획
- 인신보호법
- 416연대
- 헌법재판소
- 장애인
- 성소수자
- 장애
- 성폭력
- 교육자료
- 세월호
Archives
- Today
- Total
사람답게 살아갈 권리
[헌법재판소] 6개월 미만 월급근로자 해고예고제도 적용 예외 위헌 본문
근로기준법 제35조 제3호 위헌소원
(2015. 12. 23. 2014헌바3)
【판시사항】
월급근로자로서 6개월이 되지 못한 자를 해고예고제도의 적용예외 사유로 규정하고 있는 근로기준법(2007. 4. 11. 법률 제8372호로 전부개정된 것) 제35조 제3호(이하 ‘이 사건 법률조항’이라 한다)가 근무기간이 6개월 미만인 월급근로자의 근로의 권리를 침해하고, 평등원칙에 위배되는지 여부(적극)
【결정요지】
해고예고제도는 근로조건의 핵심적 부분인 해고와 관련된 사항일 뿐만 아니라, 근로자가 갑자기 직장을 잃어 생활이 곤란해지는 것을 막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근로자의 인간 존엄성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근로조건으로서 근로의 권리의 내용에 포함된다. 해고예고제도의 입법 취지와 근로기준법 제26조 단서에서 규정하고 있는 해고예고 적용배제사유를 종합하여 보면, 원칙적으로 해고예고 적용배제사유로 허용될 수 있는 경우는 근로계약의 성질상 근로관계 계속에 대한 근로자의 기대가능성이 적은 경우로 한정되어야 한다.
“월급근로자로서 6월이 되지 못한 자”는 대체로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한 자들로서 근로관계의 계속성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할 것이므로, 이들에 대한 해고 역시 예기치 못한 돌발적 해고에 해당한다. 따라서 6개월 미만 근무한 월급근로자 또한 전직을 위한 시간적 여유를 갖거나 실직으로 인한 경제적 곤란으로부터 보호받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합리적 이유 없이 “월급근로자로서 6개월이 되지 못한자”를 해고예고제도의 적용대상에서 제외한 이 사건 법률조항은 근무기간이 6개월 미만인 월급근로자의 근로의 권리를 침해하고, 평등원칙에도 위배된다.
출처 : 헌법재판소 홈페이지
'결정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의미한연명치료장치제거등(존엄사) 판결문 (0) | 2016.04.21 |
---|---|
대법원 2013.2.15. 선고 2010도11281 판결(공무집행방해-공무원 노조 관련 복무점검) (0) | 2016.03.15 |
[대법원] 음주측정 거부 무죄 판결 (0) | 2016.02.25 |
[헌법재판소]주민등록번호 변경 거부 헌법불합치 (0) | 2016.02.23 |
[헌법재판소]형사재판의 피고인으로 출석하는 수형자 사복 착용 금지 헌법불합치 2013헌마712 (1) | 2016.02.23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