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인사혁신처]2015년도 민관 보수수준 실태조사
인권지기 옆사람
2016. 8. 19. 14:40
과제정보
과제명 | 2015년도 민관 보수수준 실태조사 | ||
---|---|---|---|
기관명 | 인사혁신처 | 담당부서 | 인사관리국 성과급여과 |
전화번호 | 02-2100-6868 | 연구기간 | 2015-05-20 ~ 2015-10-17 |
연구분야 | 공무원지원 | ||
개요 | √ (연구기간 ) ’15.5월 ~ ’15.10월(5개월) √ (연구 주요내용 - 100인 이상 민간기업 보수 수준 대비 공무원 보수 접근율 - 「민관 보수수준 실태조사」비교프레임 분석 - 민관 보수격차에 대한 공무원 인식조사(보수격차 인식, 이직의향 등) |
계약정보
수행기관 | 한국노동연구원 [정부출연기관] | ||
---|---|---|---|
수행연구원 | 정진호 | 계약일자 | 2015-05-20 |
계약방식 | 경쟁 입찰 후 수의계약 | 계약금액 | 39,000,000원 |
연구결과 정보
제목 | 2015년 민·관 보수수준 실태조사 | ||
---|---|---|---|
연구보고서 |
2015 민관 보수수준 실태조사 최종보고서.hwp ( 1240.5 KB )
2015 민관 보수수준 실태조사 최종보고서.pdf ( 1881.6 KB ) | ||
목차 | 목 차 제 1 부 민·관 보수수준 비교분석 Ⅰ. 머리말 Ⅱ. 분석자료 1. 민간 보수자료 2. 공무원 보수자료 Ⅲ. 민·관 보수 비교 1. 분석방법 2. 2015년 분석 결과 3. 시계열 분석결과 Ⅶ. 소결 【참고문헌】 제 2 부 민·관 보수수준 비교프레임 분석 Ⅰ. 머리말 Ⅱ. 기존 민관 보수격차 분석의 틀 1. 비교대상 민간 근로자의 선정 2. 비교 보수의 개념 및 적용 3. 비교 시점 4. 민관 보수수준 비교 방법 Ⅲ. 민관 보수격차 비교 프레임의 이슈별 적절성 분석 1. 비교집단 구성의 적절성 2. 총보수의 개념 및 구성 항목의 적절성 3. 비교 시점 일치 방법의 적절성 4. 비교 방식의 타당성 5. 기타 추가적인 고려사항 Ⅳ. 결론 및 민관 보수 비교 프레임 개선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제 3 부 민·관 보수격차 인식조사 Ⅰ. 조사 개요 1. 조사의 필요성 2. 조사 내용 3. 조사 설계 4. 응답자 특성 Ⅱ. 조사 결과 1. 공무원 직업가치 2. 민간기업으로의 이직의향 분석 3. 공무원의 보수제도 관련 4. 직업 만족도 5. 직무태도 Ⅲ. 소결 부록 ; 설문지 | ||
주제어 | 2015년 민·관 보수수준 실태조사 | ||
발행년도 | 2015년 | ||
제출일 | 2015-10-16 |
연구결과 평가 및 활용보고서
평가결과서 |
정책연구_평가_결과서_진종순.pdf ( 210.0 KB )
정책연구_평가_결과서_진종순.hwp ( 64.0 KB ) 미등록 |
---|---|
활용결과 보고서 |
2015년_활용결과보고서.hwp ( 27.0 KB )
2015년_활용결과보고서.pdf ( 186.8 KB ) |
공공누리 정보
인사혁신처의 창작 저작물인 2015년도 민관 보수수준 실태조사의 경우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 프리즘